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3)
<UX심리학> 포스텔의 법칙 1. 소개 포스텔의 법칙은 사용자 중심의 경험 디자인에서 중요한 원칙 중 하나다. 이 원칙은 "자신이 행하는 일은 엄격하게, 남의 것을 받아들일 때는 너그럽게"라는 원칙을 통해 인터페이스나 시스템이 안정적이고 접근 가능해야 한다는 요구를 제시한다. 사용자가 어떤 기기를 사용하든, 어떤 기능이나 입력 메커니즘, 보조 기술을 사용하든, 심지어 어떤 연결 속도를 가지고 있든 간에, 인터페이스는 계속해서 제대로 작동해야 한다. 2. 포스텔의 법칙 * 포스텔의 법칙 기원 포스텔의 법칙은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 존 포스텔이 TCP 프로토콜 구현 과정에서 개발한 원칙이다. 포스텔은 스스로 견고함의 원칙이라고 명명한 법칙을 TCP명세에 도입한다. 이 원칙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그램은 해당 데이터를 엄격하게 검사하고, ..
<UX심리학> 피츠의 법칙 1. 소개 * 소개 - 사용자 인터랙션은 사용자가 불편함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디자이너는 이를 위해 인터랙티브 요소의 크기와 위치를 적절하게 배치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피츠의 법칙(Fitts’s law)이 큰 도움이 된다. 이 법칙은 사용자가 대상을 사용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대상의 크기와 대상까지의 거리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말한다. * 의미 - 피츠의 법칙은 1954년 미국의 심리학자 폴 피츠(Paul Fitts)가 터치 대상까지 움직이는 데 드는 시간을 대상까지 거리와 대상 너비 간의 비율에 관한 함수를 통해 예측한 것에서 도출되었다. 이는 물리적 세계에서의 인체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한 모델이었지만,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 이러한 피츠의 법칙을 디자인에 적용하기 위..
<UX심리학> 제이콥의 법칙 1. 소개 * 소개 -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자신이 경험한 다른 사이트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새로운 사이트가 작동하길 기대한다. 이는 인터페이스를 배우는 데 드는 정신적 에너지를 최소화하고, 사용자가 그들의 목표에 초점을 맞추도록 돕기 때문이다. - 이 글을 읽는 우리(디자이너, 기획자, 개발자)의 임무는 인터페이스를 만들면서 이러한 방해 요소를 최대한 줄이고, 사용자가 목적을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일반적인 디자인 패턴이나 관례를 사용하여 페이지 구조, 작업 흐름, 내비게이션, 검색 등의 전략적 영역을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새로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방식을 따로 익히지 않아도 즉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