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면 새로운 수를 만들 수 있다. 다음 예를 보자.
26부터 시작한다. 2+6 = 8이다. 새로운 수는 68이다. 6+8 = 14이다. 새로운 수는 84이다. 8+4 = 12이다. 새로운 수는 42이다. 4+2 = 6이다. 새로운 수는 26이다.
위의 예는 4번만에 원래 수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26의 사이클의 길이는 4이다.
N이 주어졌을 때, N의 사이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N의 사이클 길이를 출력한다.
정답비율
48.213%
N = int(input())
X = N
i = 0
while True :
a = X // 10
b = X % 10
c = a + b
X = (b*10)+(c%10)
i = i +1
if X == N :
break
print(i)
생각보다 까다로웠다. 처음에는 문제에 집중해서 문자열을 통해서 첫번째자리와 두번째자리를 나누고 다시 int형으로 바꿔야 하나 생각했다. 그러나 10에대한 몫과 나머지로 생각하니 쉽게 풀렸다.
참고
1110번: 더하기 사이클
0보다 크거나 같고, 99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주어질 때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할 수 있다. 먼저 주어진 수가 10보다 작다면 앞에 0을 붙여 두 자리 수로 만들고,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한다. 그 다음,
www.acmicpc.net
'Problem Solving > Baekjoon Online Jud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차원 배열> 3052번 나머지 with 파이썬 (0) | 2020.10.26 |
---|---|
<1차원 배열> 2577번 숫자의 개수 with 파이썬 (0) | 2020.10.23 |
<1차원 배열> 2562번 최댓값 with 파이썬 (0) | 2020.10.21 |
<1차원 배열> 10818번 최소, 최대 with 파이썬 (0) | 2020.10.19 |
<while문> 10951번 A+B -4 with 파이썬 (0) | 202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