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장에서 배울 내용은 텍스트를 디자인 하는 것이다. 속성들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텍스트 디자인에서의 요소들을 알아보자.
위에서 왼쪽부터 글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폰트사이즈, 글자의 자간을 나타내는 레터스페이스, 글자의 베이스라인, 줄간격이다.
1. Font-size
가장 먼저 알아볼 속성은 역시 글자의 크기이다. 폰트사이즈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font-size : 12px ;
위는 폰트 사이즈를 12px로 하라는 의미이다. px는 절대단위인데 em과 rem 과 같은 상대단위도 사용할 수 있다. em 은 equal to capital M이라는 의미인데, 부모나 자신에게 주어진 절대단위의 사이즈를 1em 으로 받고 사용한다. rem은 root em 으로써 html을 기준으로 한다. html에 폰트사이즈가 절대단위로 주어져있다면 그것을 1rem으로 사용한다.
2. Line-height
이번에는 줄간격을 알아보자. 줄간격도 px , em, rem 모두 사용가능하다.
line-height : 1.5 ;
주로 위와 같이 사용한다. 줄간격이다보니 폰트에 맞게 변경되어야 적절하므로 em을 사용한다. line-height는 기본값으로 em을 갖고 있으므로 굳이 em이라는 단위는 작성하지 않아도 좋다. 즉 위는 워드나 한글에서 줄간격 150%를 의미한다.
참고로 줄간격을 크게 해보면 알 수 있겠지만 글자는 줄간격의 세로의 가운데에 위치한다. 너무 크게 주지 않도록 주의하자.
3. Letter spacing
자간은 글자간의 간격이며,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letter-spacing : -0.02 em ;
자간도 줄간격과 마찬가지로 폰트에 맞게 변경되면 좋으므로 em을 사용한다. 위는 -2%를 의미한다.
4. Font-family
font-family는 텍스트의 서체를 나타낼 때 쓸 수 있다.
font-family : "XX체", sans-serif ;
주로 위와 같이 사용한다. 위는 XX체라는 서체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인데, 뒤에 나오는 건 XX체가 없을 경우 sans-serif체를 보여주라는 의미이다. sans-serif는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돋음이나 고딕계열의 서체이다. serif는 명조계열의 서체를 쓸 대 사용한다.
5. Font-weight
텍스트의 굵기를 별도로 지정할 수 있다.
font-weight : 400 ;
위와 같이 사용한다. 위는 정해진 규칙이 있는데 반드시 100단위로 작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굵기 별 숫자는 다음과 같다.
( 100 : Thin | 300 : Light | 400 : Regular | 500 : Medium | 700 : Bold | 900 : Black )
6. Color
컬러는 말 그대로 텍스트의 색을 지정하는 속성이다.
color : #0066ff ;
위는 hex코드를 이용하여 색상을 표현하였다. 이 외에도 rgb와 rgba를 이용해서 표현도 가능하다. rgba의 경우에는 (0,111,255,0.5) 와 같이 4개의 숫자로 표현한다. 마지막 숫자는 알파값으로 투명도를 나타낸다. 0에 가까워질수록 투명하며 1에 가까울수록 불투명해진다.
7. Align
텍스트의 정렬과 관련된 속성을 알아보자.
text-align : left ;
위는 문단을 왼쪽 정렬 하겠다는 의미이다. 물론 left는 기본값이다. right와 center 을 사용하여 오른쪽정렬과 가운데정렬이 가능하다.
text-indent : 10px ;
위의 코드를 이용하여 문단의 첫줄의 들여쓰기도 가능하다.
8. Transform
텍스트 변형은 주로 알파벳을 쓰는 문자에 사용한다. text-transform 속성을 이용하여 줄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값을 표현할 수 있다.
9. Text Decoration
텍스트 꾸미기는 밑줄을 주는 옵션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text-decoration 속성을 이용하여 줄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값을 표현할 수 있다.
자주 사용할 일은 없지만 앵커태그의 밑줄을 제거할 때 none값을 자주 사용한다.
10. Font-Style
이 또한 자주 사용할 일은 없지만 font-style : normal ; 을 통해서 em태그의 기울임을 없앨 수 있다. normal 외에도 기울임을 나타내는 italic과 oblique를 사용할 수 있다.
참고
이 글은 구름에듀에서 관련 강의를 구매하여 수강 후 공부하며 작성한 글입니다.
모든 내용과 코드 및 이미지는 직접 재구성하였습니다.
'Language >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기초> 12. Background (0) | 2020.12.03 |
---|---|
<CSS 기초> 11. Web Fonts (0) | 2020.12.01 |
<CSS 기초> 09. Media Query (0) | 2020.11.24 |
<CSS 기초> 08. Flex Box (0) | 2020.11.19 |
<CSS 기초> 07. Position (0) | 2020.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