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열이란
- 배열(Array)은 한 변수에 여러개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형식이다.
* 배열의 생성
- 배열은 대괄호를 이용하여 만든다.
var students = ['harry', 'iu', 'suzy'];
alert(students[0]);
alert(students[1]);
alert(students[2]);
// harry
// iu
// suzy
- 배열에 각각의 원소(Element)를 담으면 이는 각각 식별자를 가지게 된다. 프로그래밍에서 첫번째는 0을 의미한다. 이 때 이러한 식별자를 색인(Index)라 한다.
- 배열의 각 원소를 불러오기 위해 변수뒤에 인덱스를 대괄호에 넣어 불러올 수 있다.
* 배열과 반복문
- 위의 배열에서 하나의 원소가 추가되거나 여러 개의 원소가 추가되었을 때, 위와 같이 하나씩 출력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var students = ['harry', 'iu', 'suzy'];
for(i = 0; i < students.length; i++){
alert(students[i]);
}
// harry
// iu
// suzy
- 배열 뒤에 .length를 붙여주면 이는 배열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위의 예시에서는 3이다. i가 3보다 작을경우 계속 반복하는 것이다.
- 결국 위의 결과도 같은 결과를 주지만 이 때에는 배열에 원소가 추가되어도 대응이 가능하다.
* 배열의 제어
- 원소추가
: 배열.push(element); 배열의 가장 뒤에 하나의 원소를 추가한다..
: 배열.concat(array); 여려개의 원소를 추가할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 배열.unshift(element); 첫 부분에 원소를 추가하고 나머지는 한칸씩 뒤로 밀려난다.
: 배열.splice(index, howmany, element1, element2 ...); 특정 인덱스부분부터 몇개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원소를 추가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원소추가는 필수가 아니다.
- 원소제거
: 배열.shift(); 첫번째 데이터를 제거하고 한 칸씩 당겨온다.
: 배열.pop(); 가장 마지막의 데이터를 제거한다.
- 배열정렬
: 배열.sort();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 배열.reverse(); 배열을 역순으로 정렬한다.
참고
이 글은 생활코딩의 자바스크립트 기본 강의를 인프런에서 수강하고 개인적으로 정리하며 작성한 글입니다.
생활코딩
JavaScript - 생활코딩
2018년 8월 1일부터 14일까지 10일동안 코딩야학 4기가 시작됩니다. 혼자 공부하지 마시고, 함께 공부해보세요. 현업의 엔지니어들이 기술지원과 상담을 해드리고, 완주하신 분들께는 수료증도 드
opentutorials.org
인프런
자바스크립트 언어 기본 - javascript - 인프런
생활코딩의 자바스크립트 언어 기본 수업입니다. 기본 문법을 통한 자바스크립트 기본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입문 프로그래밍 언어 JavaScript 온라인 강의 생활코딩 자바스크립트 언어 기본
www.inflearn.com
'Language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바스크립트 기초> 09. 변수의 유효범위 (0) | 2020.12.01 |
---|---|
<자바스크립트 기초> 08. 객체 (0) | 2020.11.26 |
<자바스크립트 기초> 06. 함수 (0) | 2020.11.19 |
<자바스크립트 기초> 05. 반복문 (0) | 2020.11.17 |
<자바스크립트 기초> 04. 조건문 (0)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