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 (3) 썸네일형 리스트형 <ChatGPT> Chat GPT 이해하기 : 원리/발전/한계 1. 소개 * ChatGPT 개요 ChatGPT는 OpenAI에서 개발하였고, 이 글을 쓰는 시점인 2023년 기준으로 가장 최신의 언어 모델이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트랜스포머(Transform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텍스트 생성 언어 모델이다. 트랜스포머는 2017년 "Attention is All You Need" 라는 논문에서 소개된 인코더-디코더 구조의 신경망 모델이다. ChatGPT는 대용량 언어 모델로,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학습한 후 디코더를 사용하여 문맥에 맞는 텍스트를 생성한다. * 동작 원리 ChatGPT는 다음 단어의 확률을 예측하는 기계에 가까운 모델로, 개념 간의 관계나 내재적인 이해력은 제한적이다... <네트워크> 페이지 렌더링 과정 1. 소개 - 지난 포스팅에서는 페이지 로딩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거기서 렌더링을 간단하게 짚어보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부분에 대한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 브라우저가 렌더링 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미리 언급하자면, 먼저 html과 css를 처리하여 DOM트리와 CSSOM 트리를 빌드한다. 그리고 그 둘을 결합하여 렌더트리(렌더링트리)를 만들고, 각 레이아웃을 실행하여 형태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그들을 그린다. 이제 이 과정을 세세하게 알아보자. 2. 과정 * DOM - 다운받은 html을 파싱하며 DOM트리를 만든다. - html을 파싱하는 것은 다음 일련의 과정을 거친다. ∙ Conversion : 바이트를 읽고 인코딩하여 문자열로 바꾸는 과정을 의미한다. ∙ Tokeni.. <네트워크> 페이지 로딩 과정 1. 소개 - 이번 장에서는 우리가 브라우저에서 특정 페이지로 이동할 때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알아보자. - 흔히 우리는 브라우저가 URL을 해석하고 HTTP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고 알고있다. 이 장에서는 그 뒷면에서 어떤 과정들을 거치는지 알아볼 것이다. 2. 과정 - 여기서 설명하는 과정은 현재의 페이지(www.current.com) 에서 특정한 다음 페이지(www.next.com) 로 이동한다고 가정한다. - 이 때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 과정은 아래의 W3C Spec을 따른다. - 아래의 노란 부분은 JS로 건드릴 수 없고, 네트워크 Level에서 작업된다. * Prompt for unload - 현재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이벤트이다. - js..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