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위드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알고리즘> 버블정렬과 선택정렬 1. 버블 정렬 - 버블 정렬은 두 개의 인접한 데이터를 비교하면서 서로의 위치를 교환하며 정렬해나간다. - 임의의 숫자의 나열 7 5 6 8 1 3 을 보자. - 오름차순으로 나열하기 위해 버블정렬을 한다면 가장 먼저 7과 5가 비교된다. - 7 5 6 8 1 3 => 5 7 6 8 1 3 - 7이 더 크므로 5와 위치가 교환된다. 다음은 두 번째 위치값과 세 번째 위치값이 비교된다. - 5 7 6 8 1 3 => 5 6 7 8 1 3 - 7과 6중 7이 더 크므로 위치가 교환된다. - 마찬가지로 진행하면 세 번째와 네 번째, 네 번째와 다섯 번째,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이 교환된다. - 5 6 7 8 1 3 => 5 6 7 8 1 3 => 5 6 7 1 8 3 => 5 6 7 1.. <컴퓨터 구조> 정보의 표현 1. 문자의 표현 * 문자의 표현 지난 장에서 2진법으로 0,1 외에 더 큰 숫자를 표현하는 것을 보았다. 그렇다면 우리가 쓰고있는 문자는 어떻게 표현하는 것일까. 이 또한 숫자로 표현이 가능하다. 이 때 표준으로 정해진 부호가 바로 ASCII(아스키)코드이다.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의 약자 답게 모든 영어가 숫자와 대응되어있다. * 아스키코드 각 알파벳에 대응되는 숫자는 아스키코드 표를 찾아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아스키코드는 128개의 부호가 있다. 그 중 십진법으로 65부터 대문자A가 시작된다. 참고로 소문자a는 97이며, 숫자 1은 49이다. 특수 문자도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직접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컴퓨터 구조> 컴퓨터 과학과 2진법 1. 컴퓨터 과학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는 CS라 불리며, 이는 단순히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춘 하나의 학문이다. 여기서 문제 해결은 입력(input)을 전달받아서 출력(output)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이 때 입력과 출력 사이에 존재하는 과정자체가 컴퓨터과학이다. 입력과 출력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모두가 동의하는 표준이 필요한데, 그래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컴퓨터의 표현 방법이다. 2. 2진법 2진법이라는 개념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중학교 과정에서 이미 배웠기 때문에 알고 있다. 흔히 사용하는 10진법과 달리 모든 숫자를 0과 1로만 표현하는 진법이다. 컴퓨터는 이 0과 1로 우리가 아는 모든 숫자를 표현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문자부터 사진까지 게다가 영상과 소리도 표현할 수 있다.. <파이썬 기초> 01. 프로그래밍을 왜 할까? 언어로써 파이썬? 이 글은 미시건 주립대학교 찰스 교수의 MOOC강의인 Python for Everybody를 수강하고 정리하며 쓰는 글입니다. 0. 들어가기 전에. 필자는 현재 Python for Every body의 마지막 챕터를 남겨두고 기초문법에 대해 정리를 하며 글을 쓰고 있다. 2013년 빅데이터라는 단어가 유행하기 시작했을 때부터 지금까지 데이터는 정말 뜨거운 종목이다. 사실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빅데이터는 단순히 거대한 양의 정형화된 데이터를 일컬었다. 방대한양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기 시작했고 그 데이터의 중요성이 매우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점점 빅데이터의 범위는 넓어졌고, 현재에는 비정형화된 데이터까지 모두 포함한 데이터를 일컫는다. 빅데이터가 유망한 산업으로 떠오르며 데이터를 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