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2) 썸네일형 리스트형 <ChatGPT> Chat GPT 이해하기 : 원리/발전/한계 1. 소개 * ChatGPT 개요 ChatGPT는 OpenAI에서 개발하였고, 이 글을 쓰는 시점인 2023년 기준으로 가장 최신의 언어 모델이다. GPT는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약자로, 트랜스포머(Transformer)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텍스트 생성 언어 모델이다. 트랜스포머는 2017년 "Attention is All You Need" 라는 논문에서 소개된 인코더-디코더 구조의 신경망 모델이다. ChatGPT는 대용량 언어 모델로,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를 미리 학습한 후 디코더를 사용하여 문맥에 맞는 텍스트를 생성한다. * 동작 원리 ChatGPT는 다음 단어의 확률을 예측하는 기계에 가까운 모델로, 개념 간의 관계나 내재적인 이해력은 제한적이다... <FE> 프론트엔드 상태 관리와 역사 1. 상태관리란 * 소개 - 프론트엔드하면 상태관리라는 단어를 빼놓을 수 없다.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여 주는 것이 프론트엔드 역량의 핵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그렇다면 도대체 상태가 무엇이고, 상태가 왜 프론트엔드에서 중요할까. 이러한 필요성들이 어떻게 어떤 목표를 가지고 발전해왔을까. 오늘의 포스팅은 이런 고민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 상태란? - 프론트엔드에서 상태란 주로 유저 정보나 UI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으로 표현되는 데이터이다. 특정 컴포넌트안에서 관리되는 로컬 상태와 여러 컴포넌트에서 관리되는 전역 상태로 구분지을 수 있다. 말로는 어려우니 아래의 예시를 보자. - 위는 필자가 최근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할일을 보여주는 부분을 캡쳐한 것이다. 회사 내에서 개인이 자신의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