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딕셔너리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이썬 기초> 11. 튜플 이 글은 미시건 주립대학교 찰스 교수의 MOOC강의인 Python for Everybody를 수강하고 정리하며 쓰는 글입니다. 튜플은 리스트처럼 순서가 있어서 인덱스로 접근이 가능하다. max함수를 통해 최댓값을 쉽게 찾을 수도 있고 반복문도 사용하고 여러모로 편리하다. 그러나 리스트와 달리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튜플은 변수를 여러 개 할당가능하다는 점에서 엄청나게 편리한 기능이고, 파이썬에서는 굳이 소괄호를 쓰지 않아도 튜플로 자동으로 인식한다. x, y = 1, 10 print(x, y) # 1 10 x와 y에 쉽게 값을 할당했음을 볼 수 있다. 튜플은 map함수와도 자주 어울린다. x, y = map(int, input('number : ').split()) print(x+y) .. <파이썬 기초> 10. 딕셔너리 이 글은 미시건 주립대학교 찰스 교수의 MOOC강의인 Python for Everybody를 수강하고 정리하며 쓰는 글입니다. 파이썬에는 앞서 배웠던 리스트와 비슷하게 딕셔너리가 존재한다. 차이점이라면 순서가 따로 없지만 키(Key)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키의 존재로 파이썬이 엄청난 강점을 갖게 된다. 키가 존재함으로써 값을 찾아낼 때 더 빠르고 더 적은용량으로 가능하게 한다고 한다. X = dict() X['AA'] = 10 X['BB'] = 30 X['CC'] = 70 print(X) print(X['AA']) X['BB'] = X['BB'] + 5 print(X) # {'AA': 10, 'BB': 30, 'CC': 70} # 10 # {'AA': 10, 'BB': 35, 'CC': 70} 먼저 di..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