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성 (2) 썸네일형 리스트형 <FE> React-Query 의 필요성 1. 소개 * 기존의 상태관리 - 모던한 FE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것은 필수이다. 단순한 체크여부 뿐만 아니라 다크모드, 인풋 값, 로딩상태, 에러상태, 눈에 보이는 리스트 데이터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비동기적인 상태들 까지 상태 관리의 대상은 점점 커지고 있다. - 데이터의 관리가 점점 프론트로 넘어오고 있으며 실시간에 가까워진다는 얘기를 심심치않게 들을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상태관리의 대한 내용과 역사가 궁금하다면 필자의 이전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어쨌든 이런 상태들 중 오늘 할 내용은 주로 비동기 상태와 관련된 내용이다. - 예를 들어 SNS의 게시글이나 할일 목록을 생각해보자. 이들은 처음에 서버에서 받아와 관리되며, 주로 전역 store에 담기곤 한다. 이 상태들을 관리하기 위해 redux,.. <FE> 프론트엔드 상태 관리와 역사 1. 상태관리란 * 소개 - 프론트엔드하면 상태관리라는 단어를 빼놓을 수 없다.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여 주는 것이 프론트엔드 역량의 핵심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 그렇다면 도대체 상태가 무엇이고, 상태가 왜 프론트엔드에서 중요할까. 이러한 필요성들이 어떻게 어떤 목표를 가지고 발전해왔을까. 오늘의 포스팅은 이런 고민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 상태란? - 프론트엔드에서 상태란 주로 유저 정보나 UI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으로 표현되는 데이터이다. 특정 컴포넌트안에서 관리되는 로컬 상태와 여러 컴포넌트에서 관리되는 전역 상태로 구분지을 수 있다. 말로는 어려우니 아래의 예시를 보자. - 위는 필자가 최근 진행했던 프로젝트에서 할일을 보여주는 부분을 캡쳐한 것이다. 회사 내에서 개인이 자신의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