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시법 (1) 썸네일형 리스트형 <알고리즘> 검색 알고리즘(2) 1. 해시법 이번 장은 검색뿐 아니라 데이터의 추가·삭제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해시법을 알아보자. * 해시법 - 데이터를 저장할 위치인 인덱스를 새로 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원소의 검색과 추가·삭제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위의 배열을 11로 나눈 나머지를 정리해보자. 위에서 나온 해시값을 인덱스로 새로 배열을 해보자. - 위를 해시테이블이라 하며 새로운 원소 37을 추가하더라도 다른원소의 이동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배열에서 37을 추가하려면 뒤의 원소들을 모두 한칸씩 옮겨야 했던 것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다. - 해시함수 : 위와 같이 키를 해시값으로 변환하는 과정 - 버킷(bucket) : 해시테이블에서 만들어진 원소 * 해시충돌 - 위의 예시에서 33을 추가하려면 버킷[..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