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 (1) 썸네일형 리스트형 <TS> 효과적으로 타입 명시하기 1. 소개 필자가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던 초반엔 선언하는 모든 곳에 당연히 타입을 명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타입스크립트를 계속 쓰다보니 자연스럽게 타입추론이 생각보다 잘 일어난다는 것을 깨달았고, 단순한 선언 구문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다. 타입 스크립트의 많은 타입 구문은 사실 불필요합니다.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p.108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입을 언제 명시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서는 크게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최근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를 읽으며 타입추론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접하게 되었고, 그 중 어떤 상황에서 타입명시를 쓰면 좋을지에 대해 읽고 정리해보았다. 타입이 추론될 수 있음에도 여전히 타입을 명시하고 싶은 몇 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이펙티브 타입스크립트 p.112 2. 사용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