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p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네트워크> http 버전 별 특징 (3.0) 1. HTTP/3 - HTTP/3 은 UDP 기반의 프로토콜인 QUIC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프로토콜이다. 아직 HTTP/2 도 점유율이 50%가 되지 않는데 놀랍다. 아직 표준은 아니지만 구글은 이미 실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 UDP를 모른다면 TCP와의 비교에 대해 먼저 알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어쨌든 UDP를 조금이라도 안다면 이런 생각이 들 것이다. TCP보다 당연히 빠르지만 신뢰성도 떨어지고 전송 순서도 보장되지 않는 프로토콜 아닌가?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TCP는 신뢰성있는 통신을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들 또한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통신이므로 레이턴시가 발생하고, 이는 TCP라는 프로토콜이 생길 때부터 정의된 표준이므로 무시할 수가 없다. 2. TCP의 문제점 - 위에.. <네트워크> 전송 계층 1. 전송 계층의 역할 * 전송 계층의 두 가지 역할 - 이전 장까지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을 살펴 보았다. 그러나 이 계층들은 목적지에 데이터를 보내는 중에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유실되더라도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 전송 계층은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오류를 점검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전송 계층은 오류가 발생하면 점검하여 데이터를 재전송하도록 요청한다. - 컴퓨터가 데이터를 받더라도 어느 애플리케이션에 전달해야할지 알아야 한다. 홈페이지인지 메일프로그램인지 등을 구분하도록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한다. * 연결형 통신과 비연결형 통신 - 연결형 통신 :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