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선 랜의 구조
* 무선 랜이란.
- 이전 장까지는 랜 케이블로 연결하여 통신하는 유선 랜의 구조에 대해 공부하였다.
- 무선 랜 : 무선 신호 전달 방식을 이용하여 두 대 이상의 장치를 연결하는 기술이다. 정식 명칭은 wireless LAN이지만 Wi-Fi라는 마케팅 네임으로 주로 사용한다.
- 장점 : 케이블이 없으므로 걸리적거리지 않고 깔끔하고 편하다. 랜 케이블이 닿지 않는 근처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 단점 : 유선보다 속도가 불안정하고 전파가 약하면 연결이 잘 안될 수 있다. 유선에 비해 보안에 취약하다.
- 무선랜은 다음과 같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로 구성된다.
- 컴퓨터가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려면 무선 랜 칩과 무선 랜 어댑터가 필요하다. 최근에 나온 컴퓨터는 대부분 무선 랜 칩을 내장하고 있다.
- 무선 랜 어댑터에는 USB 메모리 방식 어댑터와 컴퓨터 카드 방식 어댑터가 있다.
- 무선 공유기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 인프라스트럭처 방식과 애드혹 방식
- 무선 랜을 연결하는 방식에는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방식과 애드혹(Ad Hoc)방식이 있다.
- 인프라스트럭처 방식 :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
- 애드혹 방식 : 무선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
- 일반적으로 인프라스트럭처 방식을 사용한다.
* 무선 랜 규격
- 무선 랜은 IEEE802.11 규격을 준수하는 기기로 구성된다. 이는 미국 기술 표준화 단체인 IEEE에서 승인한 무선 랜의 표준화 기술이다.
무선 랜 규격 | 통신 속도(최대) | 주파수 대역 | 특징 | |
IEEE802.11ad | 6.7Gbps | 60GHz | 초고속 통신 | |
IEEE802.11ac | 6.9Gbps | 5GHz | 장애물이 많아도 고속 통신이 가능하고 전파 간섭을 적게 받음 | |
IEEE802.11n | 300Mbps | 2.4GHz 대역 | 장애물에 강하지만 전파 간섭을 쉽게 받음 | |
5GHz 대역 | 장애물에 약하지만 전파 간섭을 적게 받음 | |||
IEEE802.11a | 54Mbps | 5GHz 대역 | 장애물에 약하지만 전파 간섭을 적게 받음 | |
IEEE802.11ag | 54Mbps | 2.4GHz 대역 | 장애물에 강하지만 전파 간섭을 쉽게 받음 | |
IEEE802.11b | 11Mbps | 2.4GHz 대역 | 장애물에 강하지만 전파 간섭을 쉽게 받음 |
- 주로 11n 또는 11ac를 주로 사용한다.
- 무선 공유기 통신규격이 IEEE802.11ac/n/g/b/a 라고 써있다면 다섯 개 규격을 모두 지원한다는 의미이다.
- 다만 무선 클라이언트도 이러한 규격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한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공유기 또는 무선 AP라고 부른다.
2. SSID의 구조
* SSID란.
- 이번에는 무선 랜의 연결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려면 혼선을 피하기 위해 SSID(Service Set IDentifier)라는 액세스 포인트의 고유 이름을 사용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이름, 인증, 암호화, 암호화 키를 설정한다.
- 위와 같은 설정을 해야 무선 클라이언트가 자동으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찾아서 통신할 수 있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비컨(beacon)이라고 하는 자기를 알리는 신호를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기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무선 클라이언트는 이 신호를 잡아서 연결하는 것이다.
- 신호를 받은 무선 클라이언트는 자신의 SSID와 같은지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문의한다. 같은 SSID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가 응답을 하면 서로의 존재를 알게 된다.
- 설정된 인증 방식이 올바른지 확인되면 무선 클라이언트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을 요청하고,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승인을 받으면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게 된다.
* 채널이란.
-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클라이언트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전파가 약해져서 접속이 잘 안되거나 통신 속도가 느려진다.
- 위와 같을 때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여러 대 설치해야한다. 여기서 채널이 등장한다.
- 채널은 무선 랜이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주파스 대역을 분할하는데, 이 때의 대역을 의미한다.
- 왼쪽 공유기와 컴퓨터를 연결할 때 이 공유기와 컴퓨터들은 모두 같은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하 한다는 의미이다.
- 위와 같은 경우에 무선 공유기 둘은 다른 채널을 설정해야 한다. 전파가 겹치는 무선 공유기들이 같은 채널로 설정되어 있으면 주파수가 서로 겹침녀서 전파 간섭이 생기고 통신 속도가 느려진다.
- 공유기 둘을 서로 다른 채널로 설정하면 주파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 참고로 IEEE802.11b와 IEEE802.11g는 서로 다른 채널이더라도 일부에서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므로 간섭이 생길 수 있다.
- 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최적의 채널을 찾아준다.
참고
와이파이(Wi-Fi) 무선랜(Wireless LAN)의 규격(IEEE 802.11)이 뭔가요?
IT업계의 발전은 정말 일반인으로서는 따라가기 쉽지 않을만큼 빠른 듯 합니다. 날씨야 폭염이 지속되다...
blog.naver.com
무선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선랜 PC 카드를 장착한 노트북(왼쪽)이 무선 액세스 포인트(오른쪽)에 연결되어 있는 모습. U.FL-RSMA 커넥터가 있는 RouterBoard 112를 내장한 미니 PCI형 R52 와이파
ko.wikipedia.org
모두의 네트워크
10일 만에 배우는 네트워크 기초
www.gilbut.co.kr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페이지 렌더링 과정 (0) | 2021.09.04 |
---|---|
<네트워크> 페이지 로딩 과정 (0) | 2021.08.28 |
<네트워크> OSI모델의 흐름 (0) | 2021.04.27 |
<네트워크> 응용 계층 (0) | 2021.04.24 |
<네트워크> 전송 계층 (0) | 2021.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