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88)
<1차원 배열> 1546번 평균 with 파이썬 문제 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 이 값을 M이라고 한다.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M*100으로 고쳤다. 예를 들어,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70*100이 되어 71.43점이 된다. 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 출력 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
<파이썬 기초> 11. 튜플 이 글은 미시건 주립대학교 찰스 교수의 MOOC강의인 Python for Everybody를 수강하고 정리하며 쓰는 글입니다. 튜플은 리스트처럼 순서가 있어서 인덱스로 접근이 가능하다. max함수를 통해 최댓값을 쉽게 찾을 수도 있고 반복문도 사용하고 여러모로 편리하다. 그러나 리스트와 달리 변경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튜플은 변수를 여러 개 할당가능하다는 점에서 엄청나게 편리한 기능이고, 파이썬에서는 굳이 소괄호를 쓰지 않아도 튜플로 자동으로 인식한다. x, y = 1, 10 print(x, y) # 1 10 x와 y에 쉽게 값을 할당했음을 볼 수 있다. 튜플은 map함수와도 자주 어울린다. x, y = map(int, input('number : ').split()) print(x+y) ..
<HTML 기초> 07. 라디오 · 체크 박스 이번 시간에는 저번 글에 이어서 폼형식에서의 라디오박스와 체크박스를 배워보자. 모두 같은 input 태그이다. 즉 사용자에게 정보를 받기위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라디오박스는 하나만 선택하게 받는 박스이다. 주로 우리가 원형의 체크박스로 알고 있는 것이다. 공부하기 놀러가기 태그이며 타입을 radio로 하면 라디오박스가 생긴다. 이전 장에서 배웠듯이 id와 레이블의 for속성을 연결시켜준다. value는 서버에 전송할 값이라고 생각하면된다. 공부하기를 클릭했다고 공부하기라고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1 이라는 값만 전송하는 것이다. 라디오 박스는 하나만 선택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name을 지정하지 않으면 중복선택이 가능하다. 그 이유는 컴퓨터에게 같은 그룹이라고 알려주지 않으면 모르기 때문이다. ..
<CSS 기초> 01. CSS의 기본과 사용 1. CSS 기본 CSS는 Cascading Style Sheet의 약자이다. 기존의 HTML은 웹 문서를 다양하게 설계하고 수시로 변경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 스타일 시트이고 스타일 시트의 표준이 CSS이다. CSS는 즉 웹 문서의 전반적인 스타일을 미리 저장해 둔 스타일시트이다. 문서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세세한 스타일 지정의 필요를 줄어들게 하였다. 즉 더 다양한 디자인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고 유지와 보수도 기존에 비해 간편해졌다. 2. CSS 사용 우리가 작성했던 HTML에서 CSS스타일을 입히는 방법은 총 3가지가 존재한다. 첫째, HTML문서의 태그에 속성으로 style을 주는 것이다. 이 스타일 속성에 CSS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그 태그에..
<1차원 배열> 3052번 나머지 with 파이썬 문제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B는 A를 B로 나눈 나머지 이다. 예를 들어, 7, 14, 27, 38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2, 0, 2이다. 수 10개를 입력받은 뒤, 이를 42로 나눈 나머지를 구한다. 그 다음 서로 다른 값이 몇 개 있는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부터 열번째 줄 까지 숫자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이 숫자는 1,000보다 작거나 같고, 음이 아닌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42로 나누었을 때, 서로 다른 나머지가 몇 개 있는지 출력한다. 정답비율 61.925% lst = list() for i in range(10): lst.append(int(input())%42) cnt = dict() for n in lst : cnt[n] = cn..
<자료구조> 자료구조와 배열 1. 자료구조와 배열 * 배열이란 - 하나의 값이 아닌 묶음 단위의 값을 저장하는 자료구조 - 원소 : 배열에 저장된 객체 한 단위 - 파이썬에서는 주로 리스트와 튜플로 배열을 표현함. * 객체 - 파이썬은 데이터, 함수, 클래스, 모듈 등 전부 객체로 취급하기때문에 변수는 값을 갖는 것이 아니다. - 모든 객체는 메모리를 차지하며 식별번호가 따로 존재한다. - 따라서 변수는 객체를 참조하는 별명이라고 보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10의 고유번호를 19991010 이라고 하자. 이 때 x = 10 이라고 선언하고 x의 식별번호를 확인하면 19991010이 나타난다. ※ 값을 비교할 때 연산자로 == 을 사용하지만 두 객체의 값과 식별번호를 함께 비교할 경우에는 is 를 사용한다. * 리스트와 튜플 - 리..
<ADsP> 3.3 데이터 마트 이 글은 데이터분석준전문가(ADsP)를 취득 후 정리하며 쓰는 글입니다. ADsP 의 공부방법 및 후기글은 하단의 일상블로그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데이터에듀사의 교재를 참고하였으며, 작성된 모든 내용과 그림은 직접 재구성하였습니다. 1. 데이터 변경 및 요약 * 데이터 마트 개발 - 데이터 마트 : 데이터 웨어하우스와 사용자 사이의 중간층에 위치한 것으로, 하나의 주제 또는 하나의 부서 중심의 데이터 웨어하우스라고 볼 수 있음. - 요약변수 : 수집된 정보를 분석에 맞게 종합한 변수 - 파생변수 : 분석자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거나 특정함수에 의해 값을 만들어 의미를 부여한 변수 * reshape의 활용 - 변수를 조합하여 시간, 상품 등의 차원에 결합하여 다양한 요약변수와 파생변수를 쉽게 생성하여 데이터..
<1차원 배열> 2577번 숫자의 개수 with 파이썬 문제 세 개의 자연수 A, B, C가 주어질 때 A×B×C를 계산한 결과에 0부터 9까지 각각의 숫자가 몇 번씩 쓰였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A = 150, B = 266, C = 427 이라면 A × B × C = 150 × 266 × 427 = 17037300 이 되고, 계산한 결과 17037300 에는 0이 3번, 1이 1번, 3이 2번, 7이 2번 쓰였다. 입력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 셋째 줄에 C가 주어진다. A, B, C는 모두 100보다 같거나 크고, 1,000보다 작은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는 A×B×C의 결과에 0 이 몇 번 쓰였는지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둘째 줄부터 열 번째 줄까지 A×B×C의 결과에 1부터 9까지의 숫자가 각각 몇 번 쓰였는지 차례..
<HTML 기초> 06. 인풋 · 레이블 이번에 배운 내용은 폼형식에서 인풋과 레이블이다. 인풋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받기위해 사용하는 태그라고 이해하면 된다. 레이블은 그러한 인풋을 연결지어 설명해주는 역할이라고 볼 수 있다. 회원가입 이름 제목을 회원가입이라고 하고 살펴보자. 먼저 form을 형성해주었다. form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받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action속성을 통해 API를 입력해야한다. 그렇게 해야 사용자의 정보를 우리의 서버로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패스하겠다. 그리고 method 속성은 GET | POST 가 있다. GET과 POST모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GET은 URL에 정보를 담아서 보내는 방식이다. 길이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POST는 body에 담겨서 전송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URL에..
<1차원 배열> 2562번 최댓값 with 파이썬 문제 9개의 서로 다른 자연수가 주어질 때, 이들 중 최댓값을 찾고 그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9개의 자연수 3, 29, 38, 12, 57, 74, 40, 85, 61 이 주어지면, 이들 중 최댓값은 85이고, 이 값은 8번째 수이다. 입력 첫 째 줄부터 아홉 번째 줄까지 한 줄에 하나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자연수는 100 보다 작다. 출력 첫째 줄에 최댓값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 최댓값이 몇 번째 수인지를 출력한다. 정답비율 50.40% lst = list() for _ in range(9) : lst.append(int(input())) max_n = lst[0] max_i = 1 for i in range(1, 9) : if ma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