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5) 썸네일형 리스트형 <후기> 2021 네이버 공채 코딩테스트 합격 후기 0. 소개 최근 코딩테스트 관련 게시물들의 조회수가 급격하게 오르고 있다. 아마 채용시즌이라 그런 것 같은데 그 인기에 힘입어 지난 공채 코테 후기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네이버 공채의 경우 상반기 하반기에 한번씩 열리며 본사 뿐만 아니라 계열사도 함께 참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자소서를 포함한 서류를 제출한 후 기본적인 심사를 통과하면 코딩테스트를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그리고 코딩테스트 결과와 서류 결과를 총합하여 발표를 해주는 것 같다. 네이버는 특히 코테보다 서류가 중요하다는 평이 많다. 소문에는 과거에 1솔도 통과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본 적은 없다. 실제 개발자가 읽어본다고 하니 신경써서 서류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1. 일정 2021년 10월 9일 2. 문항 수 4 문제 (1.. <월간회고> 11월 | 프로젝트 회고 및 부스트캠프 수료 들어가며 드디어 길고 긴 부스트캠프 과정이 끝났다. 7월부터 정말 열심히 달려왔기 때문에 스스로가 대견하다. 네이버 부스트캠프는 1개월간의 챌린지 과정을 거치며 튼튼한 기반지식을 갖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때, 새벽 2시전에 자본 적이 없을정도로 힘들었다. 이 때의 회고만 보더라도 그 고생이 새록새록 살아난다. 챌린지 과정에서 JS와 CS를 짧고 굵게 훑고나서 멤버십 과정이 시작됐다. 멤버십은 8주간의 학습 스프린트기간과 6주간의 그룹 프로젝트 기간으로 나뉘었다. 학습 스프린트기간은 2주 단위의 개인 프로젝트를 통해 풀스택 경험을 쌓아 올렸다. 이 때, 그룹원들과 기술적인 공유도 하고, 리뷰어 님들께 코드리뷰도 받으며 많은 성장을 했다. 학습 스프린트 기간이 끝나고, 10월 말부터 그룹 프로젝트가 시작되.. <후기> 부커톤 (부스트캠프 해커톤) 후기 1. 시작 개발을 시작한 이후 막연하게 해커톤에 참여해보고 싶다라는 생각을 했었다. 비전공자에 개발을 시작한지 얼마되지도 않은 나에게는 너무 먼 이야기같았고, 그들만의 행사? 같은 느낌이 강했다. 하지만 이번 추석기간에 현재 참여중인 네이버 부스트캠프에서 해커톤행사가 열리게 되었고,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되었다. 해커톤 행사의 이름은 부커톤이다. 부스트캠프 + 해커톤을 의미한다고 한다. 9월 23일부터 24일까지 1박 2일(이라 쓰고 무박 2일이라 읽는다.)동안 진행되었다. 사실 날짜를 보고 고민을 하긴 했었다. 지금까지 열심히 달려왔고 추석기간 꿀같은 1주일 휴식기간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그래도 꿈꿔왔던 해커톤행사이기에 기분좋게 참가신청을 했다. 참여인원을 보니 절반도 참여하지 않아서 조금 놀랬다.. <후기> 부스트캠프 6기 2차 코딩테스트 합격 후기 (feat. 최종 합격) 0. 소개 부스트 캠프는 네이버 커넥트 재단에서 운영하는 코딩 부트캠프 과정으로써, 1차 코딩테스트를 통과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2차 코딩테스트를 치룬다. 웹모바일 6기 기준으로 면접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마지막 전형이다. 서류부터 포트폴리오까지 코딩테스트 결과와 더불어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최종 합격자를 선별하는 것으로 보인다. 합격된 인원은 1개월간의 챌린지 과정을 참여하게 된다. 이후 선별된 인원들은 최종적으로 4개월 간의 멤버십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1. 일정 2021년 7월 3일 2. 문항 수 3문항 (160분) 3. 난이도 프로그래머스 기준 : Lv1, Lv1, Lv2 백준 기준 : S2, S2, S1 (주관적인 기준입니다.) 4. 후기 1차 테스트때와는 달리 실시간 감시가 있었다. 이는 네이버.. <후기> 부스트캠프 6기 1차 코딩테스트 합격 후기 (feat. 자소서) 0. 소개 네이버 부스트캠프는 네이버 커넥트 재단에서 운영하는 코딩 부트캠프이다. 매년 1기수씩 모집하고 있으며 AI 부문은 2기, 웹모바일 부문은 6기를 모집하였다.(2021년 기준) 부스트캠프 웹모바일은 1개월간의 챌린지 과정과 4개월간의 멤버십과정으로 나뉜다. 챌린지 과정에서 통과한 사람들만 멤버십 과정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과정의 모든 비용은 무료라는 큰 장점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채용연계 기회도 얻을 수 있다. 5기 기준으로 채용연계혜택을 62%가 받았으며 그중 네이버, 카카오, 라인 계열로 연계된 인원은 53%이다. 그렇다보니 경쟁률이 만만치 않다. 5기 기준으로 약 9:1이었으며, 매년 오르는 추세라고 했으므로 올해는 10:1을 거뜬히 넘겼으리라 예상된다. 1. 일정 20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