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88)
<Node> M1 Mac에서 Rosetta로 노드 패키지 설치하기 * 배경 - 최근 Cypress라는 프론트엔드에서의 E2E테스트 툴을 공부하면서 발생한 문제와 그 해결과정을 공유하려 한다. 사실 Cypress 공식 문서에 해결방법이 나와있긴 하지만 왜? 라는 의문이 생길 수 있고, 다른 패키지를 설치할 경우에도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이다. - 필자는 MacBook M1 Air (맥북 M1 에어) 모델을 사용하고있으나 지금까지 OS 관련 문제를 겪어본 적은 없었다. 프론트엔드의 경우 M1과 관련된 특별한 호환 이슈는 들어본 적이 없기도 했고, 비교적 최근에 (2021) 맥북을 구매해서일 수도 있다. - 하지만 Cypress를 설치하고 실행했더니 다음과 같은 Cypress failed to start 에러가 발생하였다. - Platform이라는 텍스트를 봤을 때, ..
<월간회고> 05월 | 제자리 걸음 들어가며 월초에 연휴로 조금 쉬었던 것을 제외하면 매우 바빴던 한 달이었다. 업무상 월말에 꽤 일이 많았다. 안정적인 자리를 잡게 되면서 커리어적인 고민도 많이 했다. 맡은 일은 너무 재미있고 도전적인 것도 할 수 있는 너무 좋은 기회였다. 하지만 스스로가 지금까지를 돌아볼 시간도 부족했던 것 같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깊게 고민해보지 않은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와는 별개로 퇴근 후 공부가 소홀해진 것 같아 스스로에게 조금 실망하기도 했다. 이번 달에는 1. 업무 관련 공부 퇴근 후 FE관련 공부와 인프라쪽 공부를 꾸준히 하려고 했으나 생각만큼 잘 안됐다. 일이 바빴던 것도 있지만 개인적으로 조금 헤이해진 것은 아닐까 반성하고 있다. 지난 달, 앞으로 도입하고 싶었던 내용을 공유하고 싶다고 작성했었..
<취준> 코딩테스트 준비하기 (with. 백준 & 프로그래머스) 1. 소개 최근 코딩 테스트 준비 어떻게 했냐, 알고리즘 어떻게 공부하냐, 코테 대비 어떻게 했냐 등의 질문을 자주 받고 있다. 그래서 필자가 취업 준비를 하던 당시에 했던 방식을 바탕으로 공부방법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마지막에 추가팁도 있으니 끝까지 읽어주길 바란다. 취준 때 이것저것 알아보며 시간을 날린 경험이 많기 때문에 이 글이 여러 사람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알고리즘이나 코딩테스트를 완전히 처음 접하는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까지 준비를 해야하는지조차 막막하고 난이도가 와닿지 않을 수 있다. 어느 정도 수준까지 해야하는지는 가장 하단에 따로 설명해두었지만 굳이 비교하자면 수능 수학과 비교할 수 있겠다. 알고리즘을 수학이라고 비유했을 때, 필자는 수능 수학 3점짜리 문제를 풀 수 있는지를 보는..
<Github Actions> 깃헙 액션을 이용한 자동화 봇 만들기 1. 계획 - 최근 깃헙 액션을 통한 웹훅 셋팅을 하는 작업을 했었다. 깃헙액션을 써보긴 했지만 CI용으로만 써왔어서 다양하게 활용해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실제로 트리거를 걸어서 이슈가 생기면 디스코드로 알린다던가 하는 등의 작업은 흔히 하는 것 같았다. 작업을 마치고 깃헙 액션으로 뭔가 더 할 수 없을까 생각했고, 크론잡을 돌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크론잡은 특정 기간마다 작업을 수행되게 하거나 특정 시간마다 작업을 반복 시키는 등의 스케줄링 작업을 의미한다. - 크론잡을 돌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재밌는 프로젝트가 떠올랐다. 필자는 매일 여러개의 기술블로그를 둘러보는데 이 포스팅들이 한 곳에 모아져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종종 했다. 그래서 한 공간에 이 글들을 크롤링해서 매일 ..
<월간회고> 04월 | 봄날 들어가며 바쁘게 지내느라 3월에는 회고를 작성하지 못했다. 사실 인턴에만 충실하다보니 4월과 크게 다르지 않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지난 회고가 인턴시작이었는데 이번 글에서는 인턴 끝이 되어버렸다. 인턴계약기간동안 받은 연차를 5월초에 쓰다보니 사실상 4월에 인턴이 끝이 나버린 것이다. 이번 달에는 1. 인턴 정말 열심히 일했다는 표현보다 최선을 다해 즐겼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 같다. 인턴임에도 너무 많은 기회가 주어졌고 원하는 일들을 마음껏 할 수 있었다. 게다가 내가 좋아하는 FE일을 실무에서 할 수 있어서 더할나위 없이 좋았다. 지난 회고에도 썼듯이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일하려고 노력했다. 개발자에게 적극적인 의견 제시는 좋은 프로덕트를 가져다 준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 외에 공부한 내용을 공유하기도 ..
<후기> 2021 네이버 공채 코딩테스트 합격 후기 0. 소개 최근 코딩테스트 관련 게시물들의 조회수가 급격하게 오르고 있다. 아마 채용시즌이라 그런 것 같은데 그 인기에 힘입어 지난 공채 코테 후기를 공유해보고자 한다. 네이버 공채의 경우 상반기 하반기에 한번씩 열리며 본사 뿐만 아니라 계열사도 함께 참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자소서를 포함한 서류를 제출한 후 기본적인 심사를 통과하면 코딩테스트를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그리고 코딩테스트 결과와 서류 결과를 총합하여 발표를 해주는 것 같다. 네이버는 특히 코테보다 서류가 중요하다는 평이 많다. 소문에는 과거에 1솔도 통과했다고 하는데 실제로 본 적은 없다. 실제 개발자가 읽어본다고 하니 신경써서 서류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1. 일정 2021년 10월 9일 2. 문항 수 4 문제 (1..
<ES2022> ES2022 Features 1. 소개 - 올해는 작년보다 많은 기능이 추가되었다. 특히 객체지향을 위한 클래스의 기능들이 눈에 띈다. TS나 바벨을 기존에 사용했던 개발자들이라면 이미 쓰고 있었던 기능이라 새삼스러울 수도 있지만 정식 스펙으로 채택된 건 ES2022이다. - ES2022외의 다른 버전의 스펙이 궁금하다면 필자의 다른 글도 참고해보길 바라며, ES2022의 기능들에 대해 알아보자. 2. 기능 * Class Fields - 클래스 필드에 많은 기능이 추가 되었다. tc39에 표기되어있는 바로는 Private instance methods and accessors, Class Public Instance Fields & Private Instance Fields, Static class fields & Private S..
<FE> 프론트 엔드의 테스트 (with. Jest, testing-library) 1. 소개 -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테스트란 프로그램이 요구사항에 맞게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테스트를 통해 추후 발생할 문제들을 사전에 발견하고,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게다가 코드를 수정하거나 개선하면서 생길 수 있는 부가적인 문제들을 확인하며 개발자는 어플리케이션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 모던 소프트웨어에서 테스트는 상당히 발전하여 수많은 툴로 자동화를 할 수 있게되었다. 개발자가 직접 테스트를 하지 않고 라이브러리와 같은 툴의 도움으로 더 빠르고 정확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프론트엔드는 점점 복잡해지고 있을뿐만 아니라 프론트엔드 특성상 사용자와 격리된 환경에서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와 같은 환경에서 프론트 ..
<월간회고> 02월 | 좋은 날 들어가며 저번 달 회고에 썼듯이 이번 달부터 인턴생활이 시작되었다. 5월 초까지 계약이며, 이후 평가를 통해 전환이 결정된다. 입사 전 걱정이 많았는데 다행히 너무 좋은 환경와 너무 좋은 사람들과 함께 하게 되어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다. 매일매일 즐겁고 앞으로가 기대된다. 이번 달에는 1. 개인 학습 입사 전까지 평소에 하고 싶었던 새로운 기술을 공부했다. GraphQL 이나 React-Query 등을 학습하고 블로그에 정리도 하면서 소위 말하는 찍먹을 해보았다. 앞으로도 새로운 기술에 대한 호기심을 놓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당분간은 회사에 적응도 하고 회사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학습하기 위해 시간을 줄여야 할 것 같다. 물론 회사에서 일을 하기 위해 필요한 공부도 충분히 재밌다. 여기서..
<FE> React-Query 의 필요성 1. 소개 * 기존의 상태관리 - 모던한 FE에서 상태를 관리하는 것은 필수이다. 단순한 체크여부 뿐만 아니라 다크모드, 인풋 값, 로딩상태, 에러상태, 눈에 보이는 리스트 데이터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비동기적인 상태들 까지 상태 관리의 대상은 점점 커지고 있다. - 데이터의 관리가 점점 프론트로 넘어오고 있으며 실시간에 가까워진다는 얘기를 심심치않게 들을 수 있다. 만일 이러한 상태관리의 대한 내용과 역사가 궁금하다면 필자의 이전 글을 참고하길 바란다. 어쨌든 이런 상태들 중 오늘 할 내용은 주로 비동기 상태와 관련된 내용이다. - 예를 들어 SNS의 게시글이나 할일 목록을 생각해보자. 이들은 처음에 서버에서 받아와 관리되며, 주로 전역 store에 담기곤 한다. 이 상태들을 관리하기 위해 redux,..